티스토리 뷰
과거처럼 여러 명의 하인을 둘 수 없었다. 동시에 주택의 내부 공간이 현대화하고 가사노동이 효율화함에 따라 하인을 두지 않을 수 있다는 분위기도 어느 정도 형성되었다. 그렇지만 중산층 가정에서는 그러한 변화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과도기가 상당 기간 지속하였다. 르코르뷔지에는 새로운 주거모델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그가 대규모 집합주택을 선호한 것도 확대된 서비스와 시설의 효율적 이용의 가능성 때문이었다. 그는 공용시설이 잘 갖추어진 집합주택에서는 이십사 시간 근무하는 수위 등 최소한의 인원만으로도 충분히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다고 보았다. 결국 집합주택을 추구했던 르코르뷔지에의 이념은 당시 대두된 사회적 문제의 해결과도 관련이 있었다. 이상적 집합주택, 위기네 다비타시옹 제이차세계대전이 막 끝나던 1945년 르코르뷔지에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남부 항구도시 마르세유에 건축될 새로운 집합주택에 대한 구상과 계획을 의뢰받게 된다. 당시 국가재건 상 Inster of Reconstruction인 라울 다우트리 Raoul Dautry가 했던 이 의뢰는 향후 프랑스에 대량으로 건축될 공공 주택의 적절한 유형을 개발해 달라는 요구이기도 했다. 칠 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린 후에 비로소 집합주택 ‘위기네 다비타시옹Unité dHabitation, 1945-1952’ 이 실현되었다. 도판 10 르 코르뷔지에는 1922년 처음으로 집합주택 모델을 제시한 후 약 삼십 년 동안 30여 개의 집합주택을 계획했지 만 실현된 것은 페사크의 집합주택과 위니테가 유일했다. 마르세유에 건설된 위니테는 근대건축의 진행과정과 이십세기 주거환경 형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위니테는 미 스 반 데어 로에의 철 · 유리건축과 함께 이십세기 건축의 가장 중요 한 산물이자 르 코르뷔지에가 평생 동안 지속했던 이상적 커뮤니티 에 대한 모색의 최종 결과물이다. 동시에 화가, 조각가, 이론가, 건축 가로서 다양한 활동을 했던 그가 이전에 했던 실험들을 모두 쏟아부 은 총체적 작업의 산물이다. 이 건물은 합리적인 가치를 가지는 '살 기 위한 기계'로서의 주거환경의 모델이자 이십세기의 많은 개혁적 건축가들이 공통으로 추구했던 '이상적 공동사회'의 구체적 모델이 다. 위니테는 운동과 여가를 중시하는 이십세기형 인간의 생활을 담 고, 그들의 사회적 교류를 증진시키면서, 근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 는 복합적 성능의 주거모델로 등장한 것이다. 위니테의 계획을 위해 르 코르뷔지에는 많은 선례들을 참고했다. 그에게 에마 수도원은 집합주택을 위한 불변의 모델이었다. 위니테 는 또한 푸리에가 제시했던 이상적 커뮤니티 '팔랑스테르'의 구성과도 닮은 점이 많다. 개인생 활을 강조하면서도 시설의 공동화를 통한 커뮤니티의 증대를 추구했던 푸리에의 모델은 중요 한 계획상의 선례였다. 또한 위니테는 굴뚝, 갑판, 객실, 통로로 구성되는 여객선을 건축적으로 형상화한 것이었다. 건축평론가 콜크혼A. Colquhoun 의 분석에 따르면, 위니테는 몇 가지 측면에서 현저하게 여객선의 형태를 재현하고 있다. 첫째, 필로티로 인해 마치 물 위에 떠 있는 배처럼 보 이며, 둘째, 바다에 떠 있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거주자 모두가 외부환경과 동일한 관계를 가지 며, 셋째, 단위 주택과 복도로 구성되는 공간구성은 여객선의 객실과 통로의 구성과 동일하며, 네째 오상정원은 굴뚝을 비롯한 여객선의 상부구조와 같은 이미지를 가진다는 것이다. 마르세유의 위니테는 원래 세 동이 군집을 이루는 단지로 계획되었으나 부지가 이리저리 바 뀌면서 결국 한 동의 건물로 외롭게 구축되었다. 도판 건축가 자신이 언급한 대로 이 건물은 수 직적 전원도시 vertical garden-city'를 구현한 것이다. 그는 이곳을 다양한 나이와 계층의 거주자들이 주거, 쇼핑, 여가 등의 시설을 모두 이용하면서 푸르른 녹지와 여유로운 공간을 향유하는 전원 도시'라고 설정했던 것이다. 17층 높이의 건물에는 독신부터 6명의 가족까지 살 수 있는 문 세 종류의 단위 주택이 마련되었으며 모두 350가구를 수용한다. 전체 계획인구는 1,600명으로 서, 푸리에가 계획한 '팔랑스테르'보다 200명이 적었다. 르 코르뷔지에는 이곳에 무려 스물여 서 종류의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제공했다. 7, 8층에 자리하는 상점들과 옥상정원에 마련된 체육관이 대표적이다. 복도는 세 층마다 설치되었고, 중복도 형식을 취했으며, 길고 좁은 평면 을 가지는 단위 주택은 복층형으로 계획되었다. 단위주텍의 원형은 역시 '시트로앙 주택'인데, 건축가는 그것을 좁고 길게 변형했다. 에마의 수도원이나 1920-1930년대에 르 코르뷔지에가 계획한 집합주택에는 두 층마다 반 복되는 편복도가 사용된 반면 세 층마다 반복되는 위니테의 중복도는 특이하다.
'건축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학개론 - 카르 다른 주 주택 Villa Carthage (0) | 2021.04.22 |
---|---|
건축학개론 - 인간의 주거환경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꾸다 (0) | 2021.04.22 |
건축학개론 - 산업혁명과 건축 (0) | 2021.04.22 |
건축학개론 - 시트로 주택 laisonCitrohan (0) | 2021.04.22 |
건축학개론 - 집합주택 모델은 두 가지로, 모두 도시 모델과 함께 제시되다 (0) | 2021.04.22 |